[Kubernetes] GKE - 3. GCP에서 Artifact Registry를 이용한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생성 및 내 PC와 연결
·
Kubernetes/GKE(Google Kubernetes Engine)
1. GCP에서 Artifact Registry 를 검색해 상단의 저장소 만들기 클릭 2. 구성 설정형식 : Docker위치 유형 : 리전, asia-northeast3(서울)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기본설정 유지한 채로 만들기를 누른다. 3. 내 PC의 Docker와 Artifact Registry 연결저장소 이름을 클릭해 상세화면에 들어가 설정 안내 버튼 클릭 Docker 구성 명령어를 복사 이때 \ 의 경우 줄바꿈을 위한 특수문자인데 window의 cmd에서는 ^로 바꿔주거나 아래와 같이 한 줄로 입력해야한다.gcloud auth configure-docker asia-northeast3-docker.pkg.dev입력시 아래와 같이 config.json 파일을 적용할 것인지 물어보면 y를 입력하면 ..
[Kubernetes] Common - 1. 쿠버네티스란?
·
Kubernetes/Common
1. Kubernetes구글은 2000년대 초부터 리눅스 커널 기능인 cgroups(Control Groups), nameSpace를 이용해 커널 레벨에서 리소스와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자체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해왔다. 이후 2000년대 중반 구글은 도커 공개 전에도 해당 자체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Borg 라는 대규모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실행, 관리해왔다. 그러나 Borg는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로 인해 유연성에 한계가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구글은 분산형 스케줄링 아키텍처를 적용한 Omega라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했다. Omega는 여러 스케줄러가 동시에 동작하면서도 충돌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보다 유연하고 확장성 높은 클러스터 관리를 가능하게 했다. 2..